어릴때야 의사라 하면 다 같은 의사인줄만 알았습니다. 하지만 의사도 그 과정에 따라 노력이 다르다는거, 할 수 있는게 다른것을 알게됩니다. 헷갈라지않게 정리해 드릴게요.
요즘 뉴스 기사에서 흔히 접하는 정규직 전문의 개설 의도와 다른 점이 무엇인지 간단히 알아보자. 의사가 되는 과정! 6년제 대학인 의과대학(의예과 2년+의학과 4년) 졸업자는 의사면허를 취득하기 위한 국가건강검진 응시 자격이 주어진다. 그리고 합격하면 의사 면허를 따고 대학병원 등 1년 인턴십을 거쳐 3~4년 동안 원하는 학과를 전공하는 레지던트가 된다.)
이 과정을 잘 이수했다면, 당신은 전문의 시험을 보고 전문의가 될 것입니다. 여기까지 왔다면 병원에 취직하거나 창업할 수 있다. 하지만 학과에서 훈련하는 것에 대해 더 배우고 싶다면, 여러분은 전임의가 되어야 합니다. 보다시피 전공의 전임의 큰 차이가 있다. 게다가, 최고의 교수가 되기 위해서는, 당신은 직책과 기회가 있어야 합니다.
결론적으로 모든 사람이 의학 교수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. 참고로, 긴 훈련 과정 동안 남자라면 군대에 가야 합니다. 만약 당신이 의사라면, 당신은 공보의나 군의관에 갈 것이다. 마지막으로 복잡한 병세를 정리하겠습니다.
의학 교수가 되기 위해, 의과대학 졸업 - 자격증 취득 - 인턴 - 레지던트 - 전문의 취득 - 펠로우쉽 취득 - 대학원 학위 취득 - 석사 취득 - 교수 취득에 걸리는 최소 시간을 요약해 보자. 의대생(6년) → 연수(1년) → 전공의(4년) → 전문의(합격 후 퇴직) → 전임의(2년) → ?
물론 적어도 11년에서 12년 후에, 하늘의 별을 따는 것이 가능해졌기 때문에, 모든 사람이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. (군 복무 기간에 포함되지 않음: 남자라면 중간에 군대에 가야 한다.) 어쨌든 전공의 출신 전문의의 의견차이를 시작으로 조금 더 깊이 들어가 봤습니다.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.
'고급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강황가루 효능 (0) | 2022.05.20 |
---|---|
상속등기시 필요서류 확인 (0) | 2022.05.19 |
최저시급 2022 실수령액 (0) | 2022.05.18 |
당근 파종시기 재배방법 (0) | 2022.05.18 |
속이 더부룩하고 체한기분 (0) | 2022.05.17 |